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
주제 : 한국어 표현교육의 정의

목차
1. 서론: 한국어 표현 교육의 정의
2. 본론: 한국어 표현 교육의 중요성 및 구성 원리
3. 결론: 한국어 표현 교육의 필요성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들의 목표는 다양하다. 일상생활에서 유창한 한국어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일반 목적뿐만 아니라 한국 대학원에서의 학문적인 연구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또는 한국에서 직업을 가지고 직장에서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국어 교육을 접한다.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유창하게 사용한다는 것은 한국어를 매개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의사소통은 정보 처리 방법에 따라 이해 과정인 ‘듣기’,‘읽기’ 영역이 있고, 표현 과정인 ‘말하기’, ‘쓰기’ 영역이 있다. 따라서 ‘한국어 표현 교육’이란, 한국어를 사용한‘말하기’와 ‘쓰기’에 대한 교육을 의미한다.
참고 자료
국제한국어교육학회(2010), <한국어 표현교육론>, 형설출판사
강현화, 원미진(2017), <한국어교육학의 이해와 탐구>, 한국문화사
송향근 외(2016), <예비교사를 위한 한국어교육론>, 하우
한국어 표현교육의 정의.hwp 다운로드
반응형
'한국어교사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실습 모의 수업 실습 지도안 - 즐거운 한국어 초급 1 15과 (24) | 2020.02.15 |
---|---|
한국어 자음 국제음성기호(IPA) 표기 (0) | 2020.02.15 |
중의적 표현의 종류와 특성 (0) | 2020.02.15 |
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 기능적 교수요목 (0) | 2020.02.15 |
주요 한국어 교수요목의 개념과 특징 (0) | 2020.02.15 |
글말의 특성과 대별되는 입말의 특성 (0) | 2020.02.15 |
한국어 듣기를 어렵게 하는 일반적인 요소 (0) | 2020.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