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교육론 과제
주제 : 한국어 듣기를 어렵게 하는 일반적인 요소
목차
1. 서론: 듣기의 정의.
2. 본론: 듣기를 어렵게 하는 일반적인 요소
3. 결론 : 듣기를 가장 어렵게 하는 요소에 대한 나의 생각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언어활동을 기능에 따라 분류하면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활동으로 나뉜다. 이 중에서 ‘듣기’는 ‘음성 언어’를 매개로 하며, 정보 처리 방식은 ‘이해’에 속하는 기능이다. 듣기는 실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다른 세 가지 기능에 비해 크다. 성인의 실생활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능은 듣기가 45%, 말하기가 30%, 읽기가 16%, 쓰기가 9%정도라고 볼 수 있으며, 특히 학교와 같은 교육 현장에서는 듣기가 60% 이상이다. 따라서 듣기가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일상생활에서 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으며, 그러므로 듣기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참고 자료
국제한국어교육학회(2009), <한국어 이해교육론>, 형설출판사
양명희, 김정남(2011), <한국어 듣기 교육론>, 신구문화사
반응형
한국어 듣기를 어렵게 하는 일반적인 요소.hwp 다운로드
반응형
'한국어교사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실습 모의 수업 실습 지도안 - 즐거운 한국어 초급 1 15과 (24) | 2020.02.15 |
---|---|
한국어 자음 국제음성기호(IPA) 표기 (0) | 2020.02.15 |
중의적 표현의 종류와 특성 (0) | 2020.02.15 |
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 기능적 교수요목 (0) | 2020.02.15 |
주요 한국어 교수요목의 개념과 특징 (0) | 2020.02.15 |
한국어 표현교육의 정의 (0) | 2020.02.15 |
글말의 특성과 대별되는 입말의 특성 (0) | 2020.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