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음운론 과제
주제 : 한국어 자음 국제음성기호(IPA) 표기

목차
1. 과제1: 한국어의 19개 자음 음소를 조음 방법과 조음 위치에 따라 분류하여 국제음성기호(IPA)로 표시하십시오.
2. 과제2: 5개 조음 위치별로 각각 다른 종성을 가진 음절을 만들어(예:양순음:갑,감) 이를 IPA로 표시하십시오.(예 갑[kap'])
3. 과제3. 1과 2의 종성(IPA)을 비교하여 달라진 점을 조음 위치별로 설명하십시오.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제 1: 한국어의 19개 자음 음소를 조음 방법과 조음 위치에 따라 분류하여 국제음성기호(IPA)로 표시하십시오.
한국어에는 19개의 자음이 있는데, 조음 방법에 따라 크게 장애음과 공명음으로 나뉜다. 장애음이란, 공기의 흐름이 심하게 방해를 받으며 나오는 소리이고, 공명음은 공기의 흐름이 구강에서 방해를 받지 않고 흘러나오며 나오는 소리이다. 장애음은 공기가 어떤 방식으로 방해를 받는지에 따라 다시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으로 나뉜다. 파열음은 공기의 흐름을 조음기관에서 완전히 막았다가 순간적으로 터뜨리면서 나오는 소리이다. 우리나라 자음 중에서 파열음에 속하는 자음은 ‘ㄱ’, ‘ㄲ’, ‘ㅋ’, ‘ㄷ’, ‘ㄸ’, ‘ㅌ’, ‘ㅂ’, ‘ㅃ’, ‘ㅍ’의 9개가 존재한다. 파찰음은 공기의 흐름을 조음기관에서 막았다가 천천히 터뜨리면서 나는 소리이다. 우리나라 자음 중에서 파찰음에 속하는 자음은 ‘ㅈ’, ‘ㅉ’, ‘ㅊ’의 3개가 존재한다.
참고 자료
이진호(2014), <국어 음운론 강의>, 삼경문화사
이문규(2015), <국어 교육을 위한 현대 국어 음운론>, 한국문화사
배주채(2013),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강옥미(2011), <한국어 음운론>, 태학사
한국어 자음 국제음성기호(IPA) 표기.hwp 다운로드
'한국어교사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실습 모의 수업 실습 지도안 - 즐거운 한국어 초급 1 15과 (24) | 2020.02.15 |
---|---|
중의적 표현의 종류와 특성 (0) | 2020.02.15 |
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 기능적 교수요목 (0) | 2020.02.15 |
주요 한국어 교수요목의 개념과 특징 (0) | 2020.02.15 |
한국어 표현교육의 정의 (0) | 2020.02.15 |
글말의 특성과 대별되는 입말의 특성 (0) | 2020.02.15 |
한국어 듣기를 어렵게 하는 일반적인 요소 (0) | 2020.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