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번 포스팅에서 언급된 '관형사', '용언 어간', '어미' 등등을 기억하시나요?
어디선가 들어는 본 듯 한데 기억 저~~~편에서 가물가물한 말들이었죠?
그래서! 국어의 9품사에 대해 시리즈로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품사란?
품사라는 말부터가 생소합니다. 품사의 정의를 알아보기 전에 익숙한 단어의 개념부터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단어'의 개념은 다들 아실겁니다.
"자립하여 쓸 수 있는 말 중 가장 작은 단위" ( 예외 : 자립성은 없지만 자립할 수 있는 형태소에 붙어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말 (조사))
쉬운 예를 들자면
나무, 열리다, 사과, 참, 예쁘다, 어머
등등은 우리가 흔히 생각할 수 있는 단어입니다.
이런 단어들이 모여서 아래와 같이 하나의 문장이 만들어지죠.
어머! 나무에 열린 사과가 참 예쁘다.
그런데 나무, 열리다, 사과, 참, 예쁘다, 어머... 그냥 '단어'로 뭉뚱그리기엔 성격들이 다 다르죠?
다양한 성격들의 단어를 문법적인 형태, 기능, 의미에 따라 묶고 분류하는 것을 '품사'라고 합니다.
영어를 공부하다가 8품사를 들어보신 적이 있죠? 명사, 대명사, 전치사, 접속사 등등~
우리나라 학교문법에서는 국어의 품사를 9갈래로 봅니다. 이 9개의 품사를 형태, 기능, 의미를 기준으로 묶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형태 기능 의미
불변어 체언 - 명사, 대명사, 수사
수식언 - 관형사, 부사
관계언 - 조사
독립언 - 감탄사
가변어 용언 - 동사, 형용사
영어의 8품사에 익숙한 분들이라면 '형용사'까지는 알겠는데 '관형사'는 뭐지? 하는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저건 다음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체언'에 해당하는 품사들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체언 - 명사, 대명사, 수사
나무, 사과, 책, 떡볶이, 김치, 해, 별, 강아지, 세종대왕, 유관순, 서울, 한강 ... |
마리, 권, 것, 따름, 뿐, 데 ... |
인칭대명사 |
나, 너, 그, 우리, 누구, 아무 ... |
지시대명사 |
이것, 그것, 저것, 여기, 저기 ... |
하나, 둘, 셋, 일, 이, 삼, 첫째, 둘째, 셋째 ... |
정리
댓글